본문 바로가기
마음건강

2025 달라진 복지정책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인상,생계급여확대,장애인연금인상,긴급지원생계비인상,자동차 및 부양의무자 기준완화

by barrie7 2025. 2. 7.
728x90
반응형
SMALL

2025 달라진 복지정책 총정리: 기준중위소득인상,생계급여확대,장애인연금인상,긴급지원생계비인상



2025년 새롭게 변경된 복지정책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 생계급여 확대, 장애인연금 인상,긴급지원 생계비 인상,자동차및 부양의무자 기준완화 등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이 많으니 꼼꼼히 확인하세요.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복지 지원 대상 확대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6.42% 인상되면서 각종 복지 혜택의 대상자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생계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 주거급여 등의 복지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024년: 6,240,000원에서 2025년: 6,640,000원 (+6.42%)으로 6.42% 올랐습니다.
달라지는 복지 혜택 :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정부 지원 대상 확대되었으며 각종 공공요금 감면 및 교육 지원 대상이 증가하였습니다.

긴급지원 생계비 지원금 인상

 

긴급한 생활고를 겪는 가구를 위한 긴급지원 생계비가 올해부터 인상됩니다. 

긴급지원생계비는 갑작스러운 실직이나 재난 등으로 생계가 어려운 가구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2025년 긴급지원 생계비 지급액
    1인 가구: 651,000원 → 693,000원
    4인 가구: 1,500,000원 → 1,600,000원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긴급지원 상담센터 (129번) 문의해 보세요.

자동차 및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그동안 자동차 보유 여부나 부양의무자로 인해 복지 혜택을 받지 못했던 가구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 자동차 기준 및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됩니다.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지원 가능합니다.

변경 내용을 보면 자동차 소유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생계급여 수급자의 차량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자가용 소유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이 가능하며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첫 만남이용권 사용기한 연장
   

 출산 후 부모가 사용할 수 있는 첫 만남이용권의 사용기한이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연장되었습니다.
  출생아 1인당 200만 원 바우처를 지급하며 기존에는 출생 후 1년 이내 사용해야 했으나, 2025년부터 2년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유아용품, 병원비, 예방접종비 등 출산·육아 관련 지출에 사용 가능합니다.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인상

장애인연금 수급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초급여가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2024년: 336,300원 에서 2025년: 344,000원(+7,700원) 올랐습니다.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하거나 복지로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

2025년 최저임금 인상

2025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 기준이 시간당 10,030원 월급 기준 (209시간 근무 시) 2,098,270원입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향으로 아르바이트 및 비정규직 근로자의 소득 증가하였으나 사업주의 인건비 부담이 증가되었습니다.

📌 마무리: 2025년 복지정책을 꼭 확인하세요!

올해 새롭게 변경된 복지정책을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혜택을 신청해 보세요. 

특히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긴급지원 생계비 확대는 더 많은 사람들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만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최신 복지정책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