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건강 정서관리

2025 최신 장애아동수당및 보조금 혜택: 장애인연금,돌봄서비스,가족휴식지원,양육지원,발달재활서비스,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by barrie7 2025. 2. 4.
728x90
반응형
SMALL

2025 최신 장애아동수당 보조금 혜택 총정리

 

 

2025년, 장애아동 수당 및 보조금 제도, 그 가족을 위한 지원제도에 여러 변화가 도입되어, 부모님들께서 더욱 실질적인 혜택을 누리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에 달라진 장애아동수당 확대, 발달재활서비스지원연령확대, 장애인연금, 돌봄 수당 인상에서 특히 가족휴식지원과 장애아가족양육지원 등 부모님들께서 활용하실 수 있는 구체적인 최신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장애아동수당 지급확대

2025년부터 18세 미만의 중증 및 경증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최대 월 22만 원의 장애아동수당이 지급됩니다.

이 수당은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됩되며 장애 아동의 생활 난정을 지원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mohw.go.kr)

18세 이상의 경증 장애인을 대상으로 월 6만 원의 장애수당이 지급됩니다. 

이는 경증 장애인의 생활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지급 여부가 결정됩니다.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복지로 웹사이트 (www.bokjiro.go.kr) 를 통해 편리하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eiec.kdi.re.kr)

 방문 신청: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필요서류: 장애인 등록증, 가족관계 증명서, 소득관련 증빙서류

자세한 내용은 해당 기관의 공식 웹사이트나 지역행정복지센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발달재활서비스 지원연령 확대

 

발달지원서비스의 지원 대상 연령이 기존 만 6세 미만에서 만 9세 미만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만 6세 이후에도 지속적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아동의 발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mohw.go.kr)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복지로 웹사이트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시군구청의 사회복지과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 인상

저소득 중증장애인의 소득 보장을 위한 장애인연금의 기초급여액이 전년도 대비 7,700원 인상되어 월 최대 34만 2,510원이 지급됩니다. 부가급여를 포함하면 총 월 최대 43만 2,51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연금의 선정기준액이 단독가구 기준 전년도 130만 원에서 138만 원으로, 부부가구 기준 208만 원에서 220만 8천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중증장애인들이 장애인연금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증장애아동 돌봄서비스 지원서비스 확대

중증장애아동 돌봄서비스의 단가가 1만 4,14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중증장애아동을 돌보는 가정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보다 나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지원 대상이 13만 2,715명으로 확대되었으며, 가산급여 지원시간도 205시간으로 늘어났습니다. 또한, 서비스 단가가 2.9% 인상되어 1만 6,620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발달장애인 가족휴식 지원

발달장애인 가족의 양육 부담을 경감하고 정서적 안정을 돕기 위해 휴식, 여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이용 시 발달장애인의 일시적 돌봄도 지원합니다. 

지원 내용:
힐링캠프: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캠프 프로그램
테마여행: 가족 맞춤형 여행 프로그램
자율여행: 가족이 자유롭게 계획하는 여행 지원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장애아동을 둔 가족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지원 내용: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가족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님의 휴식 시간을 보장합니다.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발달장애인 부모 및 보호자에게 심리·정서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양육 스트레스를 완화합니다.

마치며

이러한 변화들은 장애아동과 그 가족들의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각 제도의 상세한 내용과 신청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기관의 공식 웹사이트나 지역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확인하셔서 제공받으시기 바랍니다.


728x90
LIST